이번 포스팅에서는 3형식 문장의 목적어를 알아내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3형식 문장은 주어(S)+동사(V)+목적어(O)로 구성됩니다.
목적어(Object)는 주어가 하는 동작의 대상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명사에 해당하는 말, 즉 명사, 대명사, 명사구, 명사절이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목적어를 설명할 때 해석이 '~을/를'로 된다고 대개 문법책에 나옵니다.
그런데 처음 문법을 배우는 학생들이 'He entered the classroom.'과 같은 단순한 문장을 만나도 적용을 할 수 없어 혼란스러워 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해석법을 처음부터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 목적어를 알아내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적어는 주어와 동사 뒤에 오는 명사와의 관계를 통해서 알아낼 수 있습니다.
▶ 전치사 뒤에 오는 명사
1. 부사구나 형용사구의 일부이면 목적어가 될 수 없다.
◦ Once a tiger was in a cage.
(옛날에 호랑이가 우리 안에 있었다.)
→ ‘in a cage’가 부사구이다.
2. <자동사+전치사>=<타동사구>인 경우 목적어가 될 수 있다
◦ Many people laughed at the president.
(많은 사람들이 그 대통령을 비웃었다.)
→ 'laughed at'이 타동사구이다.
→ 'S ≠ O'이므로 the president가 목적어이다.
◦ Time and tide wait for no man.
(시간과 조수는 인간을 기다리지 않는다.)
→ 'wait for'가 타동사구이다.
→ 'S ≠ O'이므로 no man이 목적어이다.
• look for, insist on, depend on, object to, belong to 등
※ '동사+전치사'로 구성된 동사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 별도의 글을 참고하세요.
구동사 이어동사(동사+전치사) 특징과 모음
이번 글의 주제는 영어 구동사 이어동사(동사+전치사 2어동사)입니다. 구동사는 동사에 전치사나 전치사 출신의 부사가 결합되어 동사의 원래 의미에서 ‘발전된’ 다른 의미를 갖는 ‘동사덩
shadae.tistory.com
▶ 명사가 주어와 등치 되면 보어이다
◦ They both became doctors.
(그들은 둘다 의사가 되었다.)
→ 'S = C'이므로 doctors가 보어이다.
▶ 명사가 주어와 등치 되지 않으면 목적어이다.
◦ That color really becomes you.
(그 색은 너에게 정말로 잘 어울린다.)
→ 'S ≠ O'이므로 you가 목적어이다.
◦ She entered her room.
(그녀는 자기 방에 들어갔다.)
→ 'S ≠ O'이므로 her room이 목적어이다.
▶ 명사가 주어와 등치 되지만 재귀대명사이면 목적어이다.
◦ They enjoyed themselves.
(그들은 스스로를 즐기게 했다.)
→ 'S = O'이지만 재귀대명사이므로 themselves가 목적어이다.
◆ 이제 목적어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거의 모든 문법책에서 '~을/를'로 해석한다고만 설명이 나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1. 대부분의 경우: ‘~을’ ‘~를’로 해석한다
◦ He likes soccer.
(그는 축구를 좋아한다.)
2. 이동이나 전달 동사 뒤의 명사: ‘~에(게)’로 해석한다
◦ He attended the meeting. (O)
(그는 미팅에 참석했다.)
◦ He attended to the meeting. (X)
★ 전치사 to를 사용하지 않는다.
☆ enter, reach, affect, call, contact 등
3. 결합 동사 뒤의 명사: ‘~와’로 해석한다
◦ He married an actress. (O)
(그는 여배우와 결혼했다.)
◦ He married with an actress. (X)
★ 전치사 with를 사용하지 않는다.
☆ date, engage, join, become, resemble 등
4. 생각과 발언 동사 뒤의 명사: ‘~에 대해’로 해석한다.
◦ He discussed the problem with her. (O)
(그는 그녀와 그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 He discussed about the problem with her. (X)
★ 전치사 about을 사용하지 않는다.
☆ mention, explain, consider 등
5. 명사구: ‘~하는 것을’로 해석한다.
◦ He wants to work here.
(그는 여기서 일하는 것을 원한다.)
◦ He loves playing soccer.
(그는 축구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6. 명사절:
1) that 절 - ‘~(다)고’ ‘~(다)는 것을’
2) whether/if 절 – ‘~인지 (아닌지)’
3) what 절 - '~것을'
◦ He thinks that he can do it.
(그는 자기가 그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Does she know that he loves her?
(그녀는 그가 그녀를 사랑한다는 것을 아니?)
◦ She doesn’t know if/whether he loves her.
(그녀는 그가 그녀를 사랑하는지 아닌지 모른다.)
◦ She didn’t understand what he said.
(그녀는 그가 말한 것을 이해하지 못했다.)
☆ 3형식 문장 목적어 해석법을 요약하면 이렇게 됩니다.
이상으로 3형식 문장의 목적어를 알아내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법에서 목적과 목적어 (4) | 2023.04.22 |
---|---|
영어 교과서 수일치 오류 경험담 (15) | 2023.04.20 |
관계대명사 형용사절을 이용하는 영어 서술형 (13) | 2023.04.20 |
동사의 3인칭 단수형 만드는 방법과 원리 (12) | 2023.04.18 |
부사절 접속사 종류 등 부사절 총정리 (8) | 2023.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