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어 동사의 3인칭 단수형 만드는 방법과 원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등학교 내신, 모의고사, 수능에서는 수일치를 적용하는 어법 문제가 나옵니다.
3인칭 단수형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문법책에 다 나와 있지만, 원리에 대해서는 전혀 나와 있지 않습니다.
많이 사용하다 보니 익숙해져서 알게 되거나 결과적으로 나온 형태를 암기해서 알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암기해야 할 것은 암기해야 하지만 무엇이든 암기하더라도 왜 그런지 알고 암기하는 것이 낫겠죠.
★ 우선 인칭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
인칭 | 단수 | 복수 |
1인칭 | 나(I) | 우리(we) |
2인칭 | 너(you) | 너희들(you) |
3인칭 | 그(he), 그녀(she), 그것(it) | 그들(them), 그것들(them) |
◆ 주어가 3인칭 단수형에 해당하고 시제가 현재인 경우 동사의 발음이 [s], [z], [iz]로 끝나도록 형태를 변화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동사의 끝에 보통 -(e)s를 붙인다.
◾ She wants to be a singer.
(그녀는 가수가 되기를 원한다.)
⇨ want+s: 발음이 [s]로 끝난다.
◾ She sings well.
(그녀는 노래를 잘 한다.)
⇨ sing+s: 발음이 [z]로 끝난다.
◾ He wishes to be a doctor.
(그는 의사가 되기를 원한다.)
⇨ wish+es: 발음이 [iz]로 끝난다.
◾ He studies very hard.
(그는 매우 열심히 공부한다.)
⇨ stud+i+es: 발음이 [z]로 끝난다.
◆ 동사의 끝에 -(e)s를 붙이는 것은 발음의 편의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 무성음은 무성음끼리: 무성음 뒤에는 무성음 [s]로 끝나게 만든다.
▸ 유성음은 유성음끼리: 유성음 뒤에는 유성음 [z]로 끝나게 만든다.
▸ 충돌 회피: 유사발음이 연속되어 충돌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s] [z] [ʃ] [ʒ] [dʒ] [tʃ] 뒤에는 [iz]로 끝나게 만든다.
★ 참고로 무성음과 유성음을 정리해보겠습니다.
▸ 무성음: 성대를 울리지 않고 입 안에서만 낼 수 있는 음
[f] [p] [k] [t] [θ] [s] [ʃ] [tʃ]
▸ 유성음: 성대를 울려야만 낼 수 있는 음
1. 모음
2. [b] [d] [g] [j] [l] [m] [n] [r] [v] [ð] [ŋ] [w] [z] [ʒ] [dʒ]
◾ 무성음 + [s]
◦ [f]: laugh surf spoof
◦ [p]: sleep drop stop
◦ [k]: look like speak
◦ [t]: want forget write
⇨ 보통 -s를 붙이면 [s]발음이 된다.
◾ 유성음 + [z]
◦ [ð]: bathe clothe soothe
◦ [ŋ]: sing hang bang
◦ 모음: go do | be
◦ y: enjoy say | study ally
⇨ 보통 -s를 붙이면 [z]발음이 된다.
★ 예외 (설명의 편의를위해 일부 발음은 발음기호로 표기하지 않고 한글로 표기합니다)
1. 모음 뒤에는 보통 -es를 붙인다. 그냥 -s만 붙이면 단어의 원래발음이 바뀌기 때문이다. gos라고 하면 [가스]라고 발음이 되어 원래 발음 [고우]가 사라져서 알아듣기 힘들어진다. 따라서 goes로 해서 [고우즈]라고 원래의 발음이 살아있게 만든다. 영어 단어의 형태변화는 발음이 우선이다.
2. be 동사의 경우 불규칙이지만 is가 되어 [z]발음으로 끝난다. 참고로 역시 불규칙인 have의 경우 has가 되어 [z]발음으로 끝난다.
3. 모음 뒤에 y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에는 -s만 붙이면 발음이 원래 발음을 유지하면서 [z]로 끝난다. 예를 들어 enjoys라고 하면 [인조이즈]가 되어 원래 발음 [인조이]를 유지하면서 [즈]로 끝난다. 하지만 자음 뒤에 y로 끝나는 단어의 경우에는 y를 모음i로 바꾸어 주고 -es를 붙여야 [z]발음으로 끝나게 된다. 예를 들어 allys라고 하면 [앨리스]라고 발음이 되어 원래의 발음이 사라지고 끝 발음도 무성음[s]가 된다. 따라서 allies라고 해야 [앨라이즈]가 되어 원래 발음 [앨라이]도 유지하고 끝 발음도 유성음[z]가 된다.
◾ 충돌회피 - [iz]
◦ [s]: pass bless fix
◦ [z]: use lose doze
◦ [ʃ]: wash finish push
◦ [dʒ]: judge arrange charge
◦ [tʃ]: touch launch catch
⇨ 보통 -es를 붙여서 발음이 [iz]로 끝나게 만들어준다.
★ 철자가 -e로 끝난 단어는 -s만 붙이면 된다.
◆ 지금까지 동사의 3인칭 단수 현재형을 만드는 방법과 원리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주어와 동사의 수의 일치를 묻는 어법 문제와 풀이에 대해서는 아래를 참고하세요.
영어 어법 공식 4 ‘수의 일치’와 ‘시제의 일치’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어 어법 해결 공식 6가지 중 네 번째 공식 ‘일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치’에는 ‘수의 일치’와 ‘시제의 일치’가 있습니다. 수능에는 ‘수의 일치’만 나오
shadae.tistory.com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교과서 수일치 오류 경험담 (15) | 2023.04.20 |
---|---|
관계대명사 형용사절을 이용하는 영어 서술형 (13) | 2023.04.20 |
부사절 접속사 종류 등 부사절 총정리 (8) | 2023.04.15 |
준동사(출동사)의 뜻 특징 종류 그리고 어법 문제까지 (13) | 2023.04.14 |
구동사 삼어동사(3어동사) (3) | 2023.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