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동사2 본동사와 조동사 차이와 구별 이번 글에서는 본동사와 조동사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구별하는 법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동사는 본동사(주동사)와 조동사로 나눌 수 있다. ◇ 본동사의 특징: 1. 주어 뒤에서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서술한다. He plays soccer every Saturday. (동작) (그는 토요일마다 축구를 한다.) He likes soccer. (상태) (그는 축구를 좋아한다.) 2. 시제나 태 등에 따라 형태가 변한다. 5가지 형태(원형, 현재형, 과거형, 과거분사형, 현재분사형)가 있다. do를 예로 들면, 원형 do 현재형 do/does 과거형 did 과거분사형 done 현재분사형 doing 이렇게 5가지 형태가 있다. 3. 한 문장에 한 개가 있어야 한다. He soccer. (X).. 2023. 4. 1. do의 뜻과 어원 - 일반동사로 사용될 경우 이번 포스팅에서는 동사 do의 뜻과 어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쉬워 보이면서 많이 쓰이는 단어일수록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필요합니다. 'do'는 주동사(본동사)와 조동사로 모두 사용되는데 여기서는 주동사로 사용될 때 의미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do를 일반동사라고도 부르는데 정확히 말하자면 일반동사는 주동사 중에서 be동사를 제외한 동사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do'의 어원상 의미는 '두다, 놓다’입니다. 이게 고대영어와 중세영어를 거치면서 '수행하다'로 사용되었습니다. ◆ 완전타동사로 사용될 경우 '1.~ 하다 2. ~ 주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1. ~ 하다: 하다, 처리하다, 수행하다, 끝내다 등 What are you doing? 너 뭐 하는 중이냐? He's very good .. 2023. 3.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