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문법23 영문법에서 목적과 목적어 이번 글에서는 영문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목적과 목적어라는 용어를 구별하는 법에 대해 생각해보겠습니다. 영문법을 배우는 학습자들이 목적과 목적어가 용어상 비슷해서 이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선 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도록 하죠. 목적(目的): “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 목적어(目的語): “타동사가 쓰인 문장에서 동작의 대상이 되는 말” 목적은 뜻도 잘 다가오고 문법적으로도 적용이 잘 되어 헷갈릴 일이 없습니다. 예문을 통해 확인해보겠습니다. ◆ ‘목적’은 내용(뜻)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1. to 부정사 I'm here to help you. (난 당신을 도와주기 위해서 여기에 왔다.) You need to study hard (in order/so as) to pass.. 2023. 4. 22. 3형식 문장 목적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3형식 문장의 목적어를 알아내고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3형식 문장은 주어(S)+동사(V)+목적어(O)로 구성됩니다. 목적어(Object)는 주어가 하는 동작의 대상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명사에 해당하는 말, 즉 명사, 대명사, 명사구, 명사절이 목적어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목적어를 설명할 때 해석이 '~을/를'로 된다고 대개 문법책에 나옵니다. 그런데 처음 문법을 배우는 학생들이 'He entered the classroom.'과 같은 단순한 문장을 만나도 적용을 할 수 없어 혼란스러워 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해석법을 처음부터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 목적어를 알아내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적어는 주어와 동사 뒤에 오는 명사와의 관계를 통해서.. 2023. 4. 21. 영어 교과서 수일치 오류 경험담 이번 게시글은 영어 수일치 중 에 대한 것입니다. 몇 년 전에 내신대비를 하다가 교과서에 어법상 ‘오류’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어서 영어선생님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한 카페에 글을 올렸습니다. 영어1(비상, 홍) 6과에 나오는 문장입니다. 그런데 제가 이 ‘주장’을 제기했을 때 처음에 단 한 분도 제 주장에 찬성하지 않았습니다.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다음 년도 교과서에서 수정해서 출판했습니다. 그런데 왜 댓글을 단 사람들이 사실상 모두 이 문장이 맞다고 주장했을까요? 가장 큰 이유는 교과서라는 권위에 대한 무조건적 신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왜 그런가에 대한 의문을 갖고 근거를 찾아야 하는데 교과서니까 맞다는 전제하에 근거를 찾는 것이죠. 교과서의 ‘오류’ 가능성을 제기하는데 교과서의 ‘공식해석’을 .. 2023. 4. 20. 관계대명사 형용사절을 이용하는 영어 서술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계대명사 that이나 which를 사용한 형용사절을 적용하는 영어 서술형 문제와 풀이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를 이용해 형용사절을 만드는 방법에 대한 원론적인 상세한 설명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관계대명사 형용사절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관계대명사 형용사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독해를 하든 영작을 하든 ‘주인’(명사)과 ‘하인’(형용사)을 정확하고 빠르게 구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 shadae.tistory.com 서술형/서답형에서는 명사에 수식어가 붙는 문장을 만드는 문제가 자주 출제 됩니다. 영작을 할 때 맨 처음에 해야 되는 것은 주어진 우리말의 구조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어떤 문법 사항을 적용할 것인지 고려하면서 주인(.. 2023. 4. 20.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