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원시인도유럽어 어근 ‘tag-(=touch, handle)’에서 유래한 영어 어근으로는 tact, teg, tang, tax 등이 있습니다.
tact와 teg를 어근으로 사용하는 단어들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각각 살펴본바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3.04.27 - [어원 영어] - 언택트(untact)는 콩글리쉬
2023.04.29 - [어원 영어] - 정수(integer)와 적분(integral, 인테그랄) 어원
이번 글에서는 tang과 tax를 어근으로 사용하는 단어들의 어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먼저 어근 tang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tangent: tang(=touch)+ent(형/명)
⇨ 접촉된, 접촉된 것
형) 접하는, 접선의
명) [수학] 접선, 탄젠트(정접)
* 탄젠트는 원래 어떤 물체의 높이를 그림자 길이를 이용해 알아내는 데에서 유래했다. 그래서 중세에는 그 명칭에 ‘umbra(그림자)’라는 이름이 들어가 있었다. 이 개념을 덴마크의 수학자 토마스 핀케(Thomas Fincke)가 접선의 기울기와 관련지어 탄젠트라고 이름 붙였다.
In geometry class, we learned how to find the slope of a tangent line.
(기하학 수업에서 우리는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방법을 배웠다.)
▶ tangible: tang(=handle)+ible(=able)
⇨ 만질 수 있는
형) 만질 수 있는, 유형의, 분명히 실재하는
The benefits of exercise on physical health are tangible and can be easily observed.
(운동이 신체 건강에 끼치는 장점은 분명히 실재하고 쉽게 관찰될 수 있다.)
▶ intangible: in(=not)+tang(=handle)+ible(=able)
⇨ 만질 수 없는
형) 만질 수 없는, 무형의, 실체가 없는
The feeling of love is intangible, yet it can have a profound impact on our lives.
(사람의 느낌은 실체가 없지만 우리의 삶에 심오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tax를 어근으로 사용하는 단어들입니다.
▶ tax: =handle
⇨ 손으로 만져서 평가하다
⇨ 세금을 매기다
명) 세금
동) 세금을 부과하다
The company's profits were affected by a sudden increase in corporate taxes.
(그 회사의 이윤이 법인세의 갑작스런 증가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 taxpayer
명) 납세자
Every taxpayer has a responsibility to pay their fair share of taxes.
(모든 납세자는 공정한 세금을 부담할 책임이 있다.)
▶ taxi: taxicab = taximeter+cabriolet
⇨ taximeter: 거리와 요금을 자동으로 계산하는 장치
⇨ cabriolet: 1필 말이 끄는 두 바퀴 포장 마차
명) [자동 요금 계산기가 장착된 탈 것] 택시
* 택시미터는 1891년 독일의 발명가 빌헬름 브룬(Friedrich Wilhelm Gustav Bruhn)이 발명했다.
The taxi meter showed the fare increasing as we made our way through heavy traffic.
(택시 미터기는 우리가 교통 혼잡을 뚫고 갈 때 증가하는 요금을 보여준다.)
▶ taxonomy: tax(=arrange)+(o)nomy(=method)
⇨ 배열방법
⇨ 분류(학)
명) 분류, 분류학
Carl von Linné is considered the father of modern taxonomy for his system of binomial nomenclature, which uses two names to identify each species.
(각 종의 정체를 알아내는데 두 개의 이름을 사용하는 이명법(二名法)을 도입한 칼 폰 린네는 현대 분류학의 아버지로 간주된다.)
* 린네의 이명법
한 마디로 ‘속명 종명’ 이렇게 두 개로 각 종을 표기하자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간은 'Homo sapiens'로 표기 한다.
인간의 생물학 분류를 전체 명칭(‘종속과목강문계’)까지 모두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계(Kingdom) - Animalia(동물계)
문(Phylum) - Chordata(척삭동물문)
강(Class) - Mammalia(포유강)
목(Order) - Primates(영장목)
과(Family) - Hominidae(사람과)
속(Genus) - Home(사람속)
종(Species) - Homo sapiens(사람)
'어원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duction(인덕션, 귀납법)과 deduction(연역법) (8) | 2023.05.11 |
---|---|
미터와 기하학의 뜻과 어원 (5) | 2023.05.09 |
정수(integer)와 적분(integral, 인테그랄) 어원 (15) | 2023.04.29 |
언택트(untact)는 콩글리쉬 (8) | 2023.04.27 |
팬데믹(pandemic) 엔데믹(endemic) 에피데믹(epidemic) (8) | 2023.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