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인덕션(induction)'의 어원과 어근 duc을 사용한 단어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duc은 원시인도유럽어 deuk-(= to lead)에서 나왔고 ‘이끌다, 유도하다, 인도하다’라는 뜻으르 갖는다.
‘인덕션(induction)’은 이제 주방의 필수품이 되었기 때문에 누구나 다 알고 있다.
우선 ‘인덕션’의 원리와 뜻을 알아보자.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내부에 있는 코일에 전류를 흐르게 하면 주위에 전자기장이 생성된다.
이 전자기장이 조리기구의 강자성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유도전류가 조리기구에 흐르면서 전기저항에 의한 줄열(Joule heat)이 발생하여 음식 조리에 사용된다.
따라서 자성체가 아닌 유리나 도자기 그릇은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induction'은 '유도가열기'라고 부를 수 있다.
철학이나 수학에서 사용될 때 'induction'은 '귀납법'을 의미한다.
고등학교 다닐 때 '귀납법'과 '연역법'에 대해서는 대충 설명을 듣긴 했지만 제대로 된 설명을 듣지는 못했던 것 같다.
수학 시간에도 문제 풀이만 했지 수학적귀납법 개념은 정작 제대로 설명해주지 않았던 것 같다.
요즘은 훌륭한 선생님들도 많이 계시고 인터넷도 쉽게 이용할 수 있어서 궁금하면 상당 정도 찾아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사실 수학적귀납법의 개념에 대해서는 지금도 설득력있게 잘 설명한 글은 찾아보기 힘들다.
일반적인 '철학적 귀납법'과 다르다는 점은 어느 정도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데도 불구하고 왜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가 등에 대한 고민과 해결은 찾아보기 힘들다.
나중에 시간이 나면 더 깊이 고민해보고 해결책을 찾아보기로 하고 여기서는 어원공부에 초점을 맟추어 설명하겠다.
어원을 이해하면 추상적 용어들을 분명하게 구분할 수 있다.
'귀납법(induction)'과 '연역법(deduction)'에 공통으로 들어간 어근은 'duc'인데 ‘이끌다, 유도하다, 인도하다’라는 뜻이다.
접두사 ‘in'은 ’안에, 안으로(=into)'라는 뜻이므로 'induction'은 ‘~로 이끌고 들어가는 것’이라는 의미가 된다.
이것을 한자로 옮겨서 ‘歸(돌아갈 귀)納(들일 납)’이라고 한 것이다.
철학에서 ‘歸納法’은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로부터 그러한 사례들을 포함하는 좀 더 확장된 일반적 명제를 이끌어내는 것을 말한다.
접두사 ‘de'는 ’아래로(=down)'라는 뜻이므로 ‘deduction'은 '아래로 끌어내리는 것'이라는 뜻이 된다.
한자로 옮겨서 '演(펼 연)繹(풀 역)'이 되었다.
철학에서 '演繹法'은 좁은 의미로 정의하자면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로부터 개별적이고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를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귀납법과 연역법을 도식화해보면 이렇게 된다.
▶ duct: 물, 가스, 열, 전선, 눈물 등을 전달하는 관
명) 1. (배)관, 도관
duct tape
(배관 수선 등에 쓰이는) 강력 접착 테이프
▶ induce: in (= into) + duce: ~로 이끌고 들어가다[유도하다]
동) 1. <물리> (전기나 자기 등을) 유도하다 2. <철학> 귀납(歸納)하다 3. <사람> (행동을) 유도하다 3. <의학> (분만을) 유도하다
Nothing would induce me to take the job.
(그 무엇도 내가 그 일을 맡도록 유도할 수 없을 것이다.)
▶ induction: in (= into) + duc + tion (명사): ~로 이끄는 것[유도, 인도]
명) 1. <물리> (전기의) 유도, 유도가열기 2. <철학> 귀납법 3. <사람> 인도(식) 4. <의학> 유도분만
Induction is the inference of a generalized conclusion from particular instances.
(귀납법이란 특수한 사례들로부터 일반화된 결론을 추론하는 것이다.)
▶ deduce: de (= down) + duce: 아래로 끌어 내리다
동) 1. 일반적 원리를 전제로 개별적 원리를 결론으로 이끌어 내다: 연역하다, 추론하다
To deduce is to figure something out based on what you already know.
(“추론하는 것”이란 “당신이 이미 알고 있는 것에 근거해서 어떤 것을 알아내는 것”이다.)
▶ deduct: de (= down) + duct: 아래로 끌어 내리다
동) 정해진 양에서 일부를 아래로 끌어내다: 빼다, 공제하다
You have to deduct 20% tax from the sum you receive.
(당신이 수령하는 총액에서 20% 세금을 공제해야 한다.)
▶ deduction: de (= down) + duc + tion (명사): 아래로 끌어 내리는 것
명) 1. 연역(演繹)(법), 추론 2. 빼기, 공제(액)
Deduction is the reasoning from the general to the particular.
(연역이란 일반적인 것으로부터 특수한 것으로의 추론이다.)
deductions from your pay for tax, etc.
(세금 등으로 급여에서 제하는 공제액)
▶ conduct: con < com (= together) + duct: 함께 이끌다
동) (연구, 조사, 실험 등을) 수행하다 2. 안내하다 3. (악단) 지휘하다 4. (열, 전기 등을) 전달하다 5. 행동[처신]하다
명) 1. 수행 2. 행동, 처신
to conduct an experiment/an inquiry/a survey/a study
(실험/탐구/조사/연구를 수행하다)
The captain's conduct on the field inspired the team to victory.
(주장의 경기장에서의 행동은 팀이 승리하도록 영감을 주었다.)
▶ conductor: con < com (= together) + duct + or (= agent): 함께 이끄는 것
명) 1. 안내원 2. 지휘자 3. 전도체
He is a famous conductor.
(그는 유명한 지휘자이다.)
a good[bad/semi] conductor
(양[불량/반]도체)
▶ conduce: con < com (= together) + duce: 함께 이끌다
동) (어떤 결과로) 이끌어 가다, 공헌하다
Regular exercise and a healthy diet conduce to overall well-being.
(정기적 운동과 건강한 식단은 전체적인 행복에 기여한다.)
▶ conducive: con < com (= together) + duc + ive (형용사): 함께 이끌어 가는
형) (어떤 결과로) 이끌어 가는, 공헌하는 (= favorable, beneficial)
Nothing is more conducive to peace of mind than not having any opinion at all.
(견해를 전혀 갖지 않는 것보다 마음의 평화에 더 이바지하는 것은 없다.)
이상으로 duc을 어근으로 사용하는 단어들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전체 단어들 중 절반 정도를 알아보았고 나머지는 다른 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반복학습을 통한 장기기억에 도움이 되도록 적정한 시간차를 두고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어원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t, portal, porter, portfolio, import, important 어원 (12) | 2023.05.21 |
---|---|
subject(주어) object(목적어) adjective(형용사) (2) | 2023.05.15 |
미터와 기하학의 뜻과 어원 (5) | 2023.05.09 |
tax, taxi, tangent(탄젠트) 어원 (17) | 2023.05.02 |
정수(integer)와 적분(integral, 인테그랄) 어원 (15) | 2023.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