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문법

의문사가 이끄는 간접의문문 명사절

by 샤대 2023. 4. 6.

이번 글에서는 의문사가 이끄는 간접의문문 명사절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접의문문 명사절

◆ 명사절:

1. 정의: <주어+동사>를 포함하면서 단어가 2개 이상 모여서 명사 역할을 하는 말

2. 역할: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3. 종류:

1) 접속사절 – 1) that 2) whether, if

2) 관계대명사절 – what

3) 의문사절 [5w1h, 육하원칙] who, when, where, what, how, why + whom, whose, which


◈ 여기서는 의문사를 이용한 간접의문문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어순은 <의문사+주어+동사>로 평서문의 어순과 같습니다.

 

◆ 의문사

1. 의문대명사: who, whom, whose, what, which

2. 의문형용사: whose, what, which

3. 의문부사: where, how, when, why


1. 의문대명사

Who did it isn’t important. ‘누가’ <주어>

(그것을 누가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 I don’t know whom he invited. ‘누구를’ <목적어>

(나는 그가 누구를 초대했는지 모른다.)

 

◦ I wonder whose this is. ‘누구의 것’ <목적어>

(나는 이것이 누구의 것인지 궁금하다.)

 

What made him succeed is a question. ‘무엇이’ <주어>

(무엇이 그를 성공하게 했는지 의문이다.)

 

◦ The question is what he will do. ‘무엇을’ <보어>

(문제는 그가 무엇을 할 것인가이다.)

 

Which is more valuable is up to you. ‘어느 것이’ <주어>

(어느 것이 더 가치 있는지는 너에게 달려 있다.)

 

◦ I don’t know which he prefers. ‘어느 것을’ <목적어>​

(나는 그가 어느 것을 선호하는지 모른다.)

 

2. 의문형용사: 뒤의 명사를 의문사가 수식

 

◦ It doesn’t matter whose fault it is. ‘누구의’ <(진)주어>

(이것이 누구의 잘못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 I don’t know whose fault it is. ‘누구의’ <목적어>

(나는 이것이 누구의 잘못인지 모른다.)

 

What book you read is very important. ‘어떤’ <주어>

(네가 어떤 책을 읽느냐는 매우 중요하다.)

 

◦ I wonder what book you are reading. ‘어떤’ <목적어>

(나는 네가 어떤 책을 읽고 있는지 궁금하다.)

 

Which one you choose is up to you. ‘어느’ <주어>

(네가 어느 것을 선택하느냐는 너에게 달려 있다.)

 

◦ I wonder which one you will choose. ‘어느’ <목적어>

(나는 네가 어느 것을 선택할지 궁금하다.)

 

​3. 의문부사: 뒤에 완전한 문장이 온다.

 

◦ It doesn’t matter where you are now. ‘어디에’ <(진)주어>

(네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 I don’t know where she is now. ‘어디에’ <목적어>

(나는 그녀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모른다.)

 

◦ Do you know how he solved the problem? ‘어떻게’ <목적어>

(너는 그가 그 문제를 어떻게 풀었는지 아니?)

 

◦ What matters is how much you want it. ‘얼마나’ <보어>

(중요한 것은 네가 그것을 얼마나 많이 원하느냐이다.)

 

◦ Do you know when they will arrive? ‘언제’ <목적어>

(너는 그들이 언제 도착할 것인지 아니?)

 

Why do you think he is so late? ‘왜’ <목적어>​​

(너는 그가 왜 늦었다고 생각하니?)


★ 목적어 역할을 하는 의문사절의 의문사가 문두로 나오는 경우

 

▪ “비스겟”동사(생각동사):

believe, imagine, suppose, guess, think

Who do you think the man is?

(그 남자가 누구라고 생각하니?)

 

What do you believe she means by this?

(그녀가 이걸로 의미하는게 뭐라고 생각해?)

 

Which do you suppose is correct?

(어느 것이 옳다고 생각해?)

 

Where do you imagine you will be in ten years?

(10년 후에 너는 어디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

 

Why do you guess they did it?

(그들이 왜 이것을 했다고 생각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