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문법

명사절 what 관계대명사 의문대명사 차이

by 샤대 2023. 4. 5.

이번 글에서는 명사절을 만드는 wha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what이 관계대명사로 사용되는 경우와 의문대명사로 사용되는 경우 차이를 구분하는 방법도 살펴보겠습니다.

명사절 what 관계대명사 의문사 차이

◆ 명사절:

1. 뜻: <주어+동사>를 포함하면서 단어가 2개 이상 결합되어 명사 역할을 하는 말

2. 역할: 문장 내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

3. 종류:

1) 접속사절 – 1) that 2) if, whether

2) 관계대명사절 what

3) 의문사절 – [5w1h, 육하원칙] who, when, where, what, how, why + whom, whose, which​


◈ 이 글에서는 관계대명사절 what과 의문대명사절 wha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관계대명사 what:

1.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온다.

2.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이다.

3. 우리말로는 ‘~것’이 된다.

 

◾ I can't believe the thing. You just said it. (두 개의 문장)

= I can't believe the thing that you just said. (관계대명사 that으로 결합 - that절은 선행사 수식하는 형용사절)

= I can't believe what you just said. (관계대명사 what으로 결합 - what절은 명사절이고, 뒤에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다.)

(나는 네가 방금 말한 것을 믿을 수 없다.)

 

The thing is a fresh perspective on the market. The company needs it. (두 개의 문장)

= The thing that the company needs is a fresh perspective on the market. (관계대명사 that으로 결합 - that절은 선행사 수식하는 형용사절)

= What the company needs is a fresh perspective on the market. (관계대명사 what으로 결합 - what절은 명사절이고, 뒤에 목적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다.)

* what 절이 주어일 경우 수는 보어명사에 일치시킨다. 이 문장의 경우 보어가 'a fresh perspective'로 단수이므로 동사가 단수동사 is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관계대명사 what과 관계대명사 that의 공통점과 차이점

▸ 공통점: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온다.

▸ 차이점: that은 앞에 선행사가 있어서 형용사절을 만들고, what은 선행사가 없어서(자체 내에 포함해서) 명사절을 만든다.

 

★ 관계대명사 what과 접속사 that의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명사절을 만들고, 우리말로 ‘~것’이 된다.

▸차이점: what뒤에는 불완전한 문장이 오고, that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온다.

 

◇ 의문대명사 what:

1.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온다.

2. 보통 ‘의문’을 포함하는 동사나 형용사 뒤에 온다.

3. 우리말로는 보통 ‘무엇’이 된다.

 

◾ She said to me, "What are your plans for the weekend?" (직접의문문)

= She asked me what my plans were for the weekend. (간접의문문)

(그녀는 주말동안 내 계획이 무엇인지 나에게 물었다.)

* 앞에 ‘의문’을 표현하는 동사 'asked'가 왔고 뒤에는 보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왔다.

 

◾ He wondered what the weather would be like tomorrow.

(그는 내일 날씨가 무엇처럼 생길지[어떨지] 궁금해 했다.)

* 앞에 ‘의문’을 나타내는 ‘wondered'가 왔고 뒤에는 전치사 like뒤에 명사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왔다.

 

★ 관계대명사 what과 의문대명사 what 공통점과 차이점

▸공통점: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오는 명사절이고, 앞에 선행사가 없다.

▸차이점:

① 해석상 관계대명사는 보통 ‘~것’이 되고, 의문대명사는 보통 ‘무엇’이 된다.

② 구조상으로 what절을 ‘직접의문문’으로 만들어서 문장이 성립하면 의문사이고, 그렇지 않으면 관계사이다.

 

◾ I can't believe what she just said.

≠ I can't believe, "What did she say?" (X)

* 이 문장의 what은 관계대명사이다.

 

◾ He asked what the rules for the game were.

= He asked, "What are the rules for the game?" (O)

* 이 문장의 what은 의문대명사이다.

 

What을 비롯한 관계대명사에 관한 자세한 용법은 여기를 클릭해서 참고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