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영어/내신 영어

영어 어법 공식 4 ‘수의 일치’와 ‘시제의 일치’

by 샤대 2023. 3. 23.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어 어법 해결 공식 6가지 중 네 번째 공식 일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치에는 수의 일치시제의 일치가 있습니다. 수능에는 수의 일치만 나오지만 내신에서는 시제의 일치도 나옵니다.

어법 공식 4 - 수의 일치와 시제의 일치

 

첫 번째 공식 동사냐 출동사냐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2023.03.21 - [고등학교 영어/내신 영어] - 영어 어법 해결 공식 중 ‘동사냐 출동사냐’ 유형을 청원고 영어 내신에 적용하기

두 번째 공식 절과 절의 연결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2023.03.22 - [고등학교 영어/내신 영어] - 영어 어법 공식 6가지 중 두 번째 공식 '절과 절의 연결' 유형을 청원여고 영어 내신에 적용해보기

세 번째 공식 ‘지시대명사냐 재귀대명사냐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2023.03.23 - [고등학교 영어/내신 영어] - 영어 어법 공식 3 '지시대명사냐 재귀대명사냐'

 

어법 해결 네 번째 공식 ‘일치’는 수능과 69월 평가원 문제에서 빈도가 높지는 않지만 가끔씩 한 항목이 출제되고 있습니다.

내신에서는 어법 문제가 여러 문제가 출제되므로 일치도 출제 빈도가 더 높습니다.

유형
22 21 20 19 18 17
4. 수의 일치
단수  / 복수
수능 0 0 1 0 1 1
평가원 0/0 1/1 0/1 0/0 0/0 0/0

 

◆ 유형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보통 ~(e)s / is / was  /has  /원형 / are  /were / have에 밑줄이 그어져 나옵니다.

단수동사는 발음이 대개 [s], [z], [iz]로 끝납니다.

 

◆ 해결법입니다.

주어를 찾아서 단수인지 복수인지 알아냅니다. 주어가 단수이면 동사의 발음이 [s], [z], [iz]로 끝나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주어가 복수이면 주어의 발음이 보통 [s], [z], [iz]로 끝나고 동사는 원형 그대로 사용합니다.

 

쉽게 말해 주어와 동사 중에 한 쪽만 발음이 [s], [z], [iz] 끝납니다.

주어 단수 동사의 발음이 [s], [z], [iz]로 끝남
복수 동사원형 그대로 사용함

 

◆ 실전에 적용하기입니다.

1. 2021년 평가원 어법 문제입니다.

As far as communication between humans is concerned, such commonality of interests is rarely achieved. (인간 사이의 의사소통에 관한 한, 관심사의 그런 공통성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는다.)

 

동사 is에 밑줄이 있으므로 수의 일치를 묻는 문제입니다.

주어가 commonality이므로 단수입니다. 따라서 동사는 is가 맞습니다.

 

<명사 of 명사>인 경우 수의 일치

원칙: 앞의 명사에 일치시킨다. ‘of 명사가 형용사구로 앞의 명사를 수식하는 형태이므로 앞의 명사가 주어가 됩니다.

예외: 앞의 명사가 부분을 나타내고 뒤의 명사가 전체를 나타낼 경우에는 뒤의 명사가 주어가 됩니다.

부분을 나타내는 말: all, most, half, part, portion, rest, some, %, fraction, majority

 

2. 2021년 평가원 어법 문제입니다.

Stonehenge, the 4,000-year-old ring of stones in southern Britain, is perhaps the best-known monument to the discovery of regularity and predictability in the world we inhabit. (영국 남부에 있는 4,000년된 고리 모양을 하고 있는 돌들인 스톤헨지는 아마도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에서 규칙성과 예측 가능성을 발견한 가장 잘 알려진 기념비일 것이다.)

 

동사 is가 맞는지 묻는 수의 일치문제입니다.

주어를 찾아보면 앞 부분에 양쪽에 쉼표로 된 긴 구가 있고 그 앞에 짧은 명사가 있습니다. 고유명사나 전문 용어와 같은 낯선 명사 다음에 쉼표로 된 긴 설명어구가 붙으면 대부분 동격의 구나 절입니다. 이 경우 그 앞에 있는 명사가 주어가 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Stonehenge가 주어입니다. 단수이므로 동사는 is가 맞습니다.

 

3. 2019년 수능 영어 어법 문제입니다.

Speculations about the meaning and purpose of prehistoric art rely heavily on analogies drawn with modern-day hunter-gatherer societies. (선사 시대 예술의 의미와 목적에 대한 고찰은 현대의 수렵 채집 사회와의 사이에서 끌어낸 유사점에 많은 것을 의존한다.)

 

동사원형/현재형 rely가 맞는지 묻는 동사냐 출동사냐또는 수의 일치유형이다.

 

동사원형이라고 가정하면 1번 어법 공식 동사냐 출동사냐로 따지면 됩니다. 이 문장에 동사가 없으므로 출동사가 아니라 동사 자리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수의 일치를 따져보면 된다. 주어가 Speculations로 복수이므로 동사는 rely가 맞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명사 앞에 전치사가 붙으면 일단 괄호로 묶어서 ‘하인’으로 보면 된다. 이 문장의 경우 ‘of prehistoric art''about the meaning and purpose'를 묶어 버리면 남는 명사는 앞의 Speculations밖에 없고 이 명사가 주어이다.

 

4. 2020년 평가원 어법 문제입니다.

The provision of timely, constructive feedback to participants on performance is an asset that some competitions and contests offer. (참가자에게 수행 기량에 대한 시기적절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은 일부 대회와 경연이 제공하는 자산이다.)

 

동사 is에 밑줄이 있으므로 수의 일치를 파악하는 유형이다.

앞의 명사에서 전치사가 붙은 구들, ‘on performance' 'to participants' 'of timely, constructive feedback'을 묶어서 제거하고 나면 남는 명사는 ’The provision'밖에 없다. 따라서 주어가 단수이므로 동사는 is가 맞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2017년 수능 영어 어법 문제입니다.

Psychologists who study giving behavior have noticed that some people give substantial amounts to one or two charities, while others give small amounts to many charities. (기부하는 행위를 연구하는 심리학자들은 어떤 사람들은 한두 자선단체에 상당한 액수를 기부하는 반면에, 어떤 사람들은 많은 자선단체에 적은 액수를 기부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동사의 현재완료형(have p.p.)에서 have에 밑줄이 있으므로 두 가지 일치, 수의 일치시제의 일치를 따져봐야 하는 문제입니다.

 

우선 시제를 보면 심리학자들이 ‘that이하알아차렸다는 것인데, 과거부터 지금까지 연구하면서 알아차렸다는 것이므로 현재완료가 맞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수의 일치를 확인하면 된다. ‘who study giving behavior'는 형용사절로 앞의 선행사 Psychologists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주어가 Psychologists이므로 복수이고 동사는 have가 맞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