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어 구와 절의 차이를 포함한 구와 절에 관한 핵심 사항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장은 어떻게 만들어 질까요?
문자(letter)가 모이면 단어(word)가 됩니다.
단어가 모이면 구(phrase)가 됩니다.
구가 발전하면 절(clause)이 됩니다.
절이 완전한 의미를 전달하게 되면 문장(sentence)이 됩니다.
◆ 구와 절의 공통점
◦ 단어가 2개 이상 의미 있게 결합됨
◆ 구와 절의 차이점
▶ 구: <주어+동사>가 포함되지 않음
▶ 절: <주어+동사>가 포함됨
◾ She has been teaching English for 5 years.
(그녀는 5년 동안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
▸ 주어와 동사를 포함하여 완전한 의미를 전달하는 <문장>이다.
◾ She has been teaching
▸주어와 동사를 포함한 <절>이지만 완전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므로 <문장>은 아니다.
◾ for 5 years
▸ 단어가 두 개 이상 의미 있게 결합된 <구>이지만 주어와 동사가 없으므로 <절>은 아니다.
◈ 구의 종류
◆ 명사구: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 역할
◦ To tell the truth is always right.
(진실을 말하는 것은 언제나 옳다.)
▸ 주어 역할을 하는 명사구이다.
◆ 동사구: 서술어/동사 역할
◦ You should study very hard.
(너는 매우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서술어 역할을 하는 동사구이다.
◆ 형용사구: 명사 수식, 보어 역할
◦ There are many things to be thankful for in life.
(인생에는 감사해야 할 많은 것들이 있다.)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구이다.
◆ 부사구: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 수식
◦ You can do it with ease.
(너는 그것을 쉽게 할 수 있다.)
▸ 동사를 수식하는 부사구이다.
◆ 접속사구: 절과 절을 연결
◦ As soon as he got home, he began to play a computer game.
(집에 도착하자마자 그는 컴퓨터 게임을 하기 시작했다.)
▸ 절과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구이다.
◈ 절의 종류
◆ 명사절: 주어, 목적어, 보어, 동격 역할
◦ What you need to do is push yourself beyond your limit.
(네가 할 필요가 있는 것은 네 한계를 넘어 너 자신을 밀어붙이는 것이다.)
▸ 주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 I wonder if you miss me sometimes.
(나는 네가 가끔 나를 그리워하는지 궁금하다.)
▸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이다.
◆ 형용사절: 명사 수식
◦ All that you need to do is push yourself beyond your limit.
(네가 할 필요가 있는 모든 것은 네 한계를 넘어 너 자신을 밀어붙이는 것이다.)
▸ 관계대명사 절이 대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이다.
◦ This is the place where dreams come true.
(이곳은 꿈이 실현되는 장소이다.)
▸ 관계부사 절이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이다.
◆ 부사절: 주절 수식
◦ If you work hard, you will be able to score good grades.
(네가 열심히 공부한다면 너는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주절을 수식하는 ‘조건’ 부사절이다.
◦ She lived in New York when she was young.
(그녀는 어렸을 때 뉴욕에서 살았다.)
▸ 주절을 수식하는 ‘시간’ 부사절이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구와 절의 개념, 공통점, 차이점 등 핵심 사항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습니다.
세부적인 사항들에 대해서는 각 항목별로 별도로 다룰 예정입니다.
'영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용사구 뜻, 역할, 종류, 예문 (4) | 2023.04.04 |
---|---|
영어 명사구의 개념, 역할, 종류, 예시 (3) | 2023.04.03 |
본동사와 조동사 차이와 구별 (5) | 2023.04.01 |
영어 문장 성분의 종류와 역할 (7) | 2023.03.31 |
영어 품사 뜻과 종류 (3) | 2023.03.30 |
댓글